안내
Kautm 스케줄
2024.06

Korea Association of Unoversity Technology Transfer Management

기술가치실현, 대학과 기업이 함께합니다.

> TLO소식 >

한국기술거래소의 사업관리방법에 문제...

  • 작성자
    고병기(인하)
  • 작성일
    2007-03-04 20:01:33
  • 조회수
    1850
한국기술거래소의 사업관리방법에 문제를 제기합니다. 아래글에 박선영 선생님의 글을 읽고, 어느 한대학의 문제점 만은 아니라는 생각을 합니다. 학진의 위탁관리와 거래소의 총괄관리라는 이중관리 부터 생긴 문제의 시작이 정리되지 않은 것도 문제지만, 두 기관이 커뮤니케이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더욱 크다고 봅니다. 이에 문제해결은 총괄관리기관인 거래소라 생각들어 거래소에 연락을 해보았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한국기술거래소 사장님 면담을 담당자를 통해 요청하였습니다. 4월 두째주에 면담시간을 요청하였습니다. 같이 가실분이 몇분 안되시면 면담으로, 거래소로 가실분이 많으시면 큰 회의실을 빼서 간담회로 추진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같이 가실분은 연락주시고, 못 참석하시더라도 이야기 하실게 있으신 분은 제 메일로 불만사항을 연락주시면 함께 건의토록 해 보겠습니다. 대표적인 문제점을 조금 이야기 해 보면. 1. 박선영 선생님 말씀하셨듯 대학의 기술이전을 총체적으로 이해 못하고 있다. 2. 학진이 시킨일 얼마뒤 바로 시킨다.(이해할수 없음!) 3. 도대체 담당자는 누굴까? -> 수시로 담당자가 바뀌는 건가?  메일이 계속 바뀜. 4. 홈페이지 만들어 입력 곤란한걸 넣어라 한다. -> 기술이전 정보, 기업정보는 기업의 동의가 있어야 가능함.    (이런거 고려 안하고 매달 입력넣으라 하는걸 보면, 참 이상하다. 이 정보 잘못되면 거래소가 책임질건가?) 한가지 의문나는게 있는데요 거래소에서 NTB 홍보안되고 운영안된걸 입증할려구 대학별 히팅수 조사한거고, 평가 제대로 안하고 일 안하는거 입증할려구 이번 계획서에 대학별로 한번 보라고 평가항목 넣은거지요?
  • 고병기(인하) 2007-03-04 20:13:19
    참고로 제 메일은 bkko@inha.ac.kr 입니다.
    기술이전사업의 사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담당자 입니다.
    그게 바로 CK, DK 사업의 근본취지입니다. 기술이전 실적은 아무 의미도 없고, 다른사업도 역량있는 담당자 육성보다 중요하지 않습니다.
    저는 그걸 거래소에 알려주고 싶을 뿐입니다.
  • 곽창순 2007-03-04 20:36:53
    거래소와 면담이 잡힌다면 저도 끼워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가지 제안드린다면 그 전에 이 사업과 관련하여 실무자들끼리 한번 허심탄회하게 얘기할 수 있는 자리를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1차년도 짧은 시간이지만 사업 진행하면서 여러가지 좋은 의견들이 생겼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고병기 선생님께서 자리 한번 마련해 보심이 어떠실런지요? 아니면 지역에서 해 주시면 이참에 바람한번 쐬러 가는것도.....
  • 고병기(인하) 2007-03-04 20:54:59
    좋습니다.
    추진 들어갑니다.
    유치를 희망하시는 대학 있으시면, 말씀해 주십시요, 총장님도 참석하시어 현실 이야기 들어보시면,
    기술이전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실수 있습니다.
    전에 강원도에서 관동대에서 긴급회의를 발동한바 있는데, 그때 생각이 새록새록 납니다.
    저는 성격이 과격한게 문제라....
  • 박홍균(GTTC) 2007-03-05 19:49:09
    역할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싶습니다.
    [학진] 기술공급자 중심의 지원
    : 산학협력활성화를 위하여 연구역량강화, 산학협력채널 확대, 연구성과(기술)의 가치화(이전)에 중점을 두고 기술공급자인 대학 및 연구소를 지원하는 임무를 띄고 활동
    [한국기술거래소] 기술의 수요자 중심의 지원(기술사업화)
    : 대학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CK사업이 진행되는 만큼, 연구성과와 연구역량을 기업체에 홍보하거나, 연구성과의 권리화 및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하여 투자, 자금지원 등 정부자금(산자부, 중기청, 특허청 등)을 체계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정책과 기술사업화 네트워킹 지원등이 아닐까 합니다.

    관리가 문제는 아닙니다. 누군가 관리는 해야 하니까...문제는 중복이라는 거고...중복이라는 건 서로의 역할론에 문제가 있지않나 생각해봅니다.

    1. 연구성과가 기술공급자에서 기술수요자에게 자연스럽게 전달될 수 있도록: 산업체의 기술경쟁력강화!
    2. 전달된 연구성과가 사업화 성공할 수 있도록: 일반기업의 기술기반기업으로의 전환 유도!
    3. 사업화성공을 통하여 얻은 수익으로 다시 산학협력과제 도출할 수 있도록: 산학협력활성화!

    1-2-3-1-2 순환으로 갈수 있도록...

    CK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하여 두 기관의 치밀한 관계유지와 협력이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 박홍균(GTTC) 2007-03-05 19:50:26
    앗!!! 메일로 보내야 되남?
  • 민재욱(원광) 2007-03-06 14:22:00
    mm~

Comment

작성자 :

비밀번호 :